AI 시대, 프로그래머의 미래 > 뉴스레터 | 그누보드5

뉴스레터

AI 시대, 프로그래머의 미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유비스톰
조회 11회 작성일 25-04-24 14:36

본문

✨ AI 시대, 프로그래머의 미래는?
 

앞선 칼럼에서 우리는 AI가 코딩에 어떻게 스며들고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Cursor AI, Copilot 같은 AI 도구가 개발자들의 일상에 들어오면서 코딩 속도와 품질이 향상되고
Vibe Coding이라는 신개념이 등장하며, "자연어로 말하고, AI가 코딩한다"는 새로운 방식이 생겨났죠.
그럼 자연스러운 다음 질문은,
"이제 프로그래머는 필요 없게 되는 걸까?"입니다.

f78fef0ac991003ad3342552d61269fb_1745472593_2969.png
✨ “개발자, 사라질 직업?” 불안한 전망들

Tech Guru 라고 하는 많은 사람들도 저의 업계의 개발자들이 느끼는 비슷한 두려움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일부 전문가들은 AI가 개발자의 역할을 완전히 대체할 가능성을 이야기하며 개발자라는 직업 자체가 사라질 수도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 AWS CEO 가먼 “2년 안에 대부분의 개발자는 코딩할 필요가 없게것” 이라고 말했습니다.
• Stability AI 대표 에마드 모스탁 “5년 안에 인간 프로그래머가 사라질 수도 있다”  경고했습니다. 참고로 현재 GitHub 코드의 41%가 이미 AI에 의해 작성되고 있다고 하네요.
• 알파고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진 구글 산하 딥마인드 공동 창립자 무스타파 슐레이만은 정부가 AI로 인해 일자리를 잃는 사람들을 위해 기본소득 같은 정책적 대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 현직 개발자라면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
정말 영화에서 보던 ‘
AI가 세상을 지배하는 디스토피아’가 현실이 되는 걸까요?

f78fef0ac991003ad3342552d61269fb_1745472629_1978.png
 “그래도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팀 오라일리의 조언

하지만 이 와중에도 균형 잡힌 시각을 제시한 인물이 있습니다.

바로 오라일리 미디어의 창업자, 최초로 오픈소스 개념과 Web 2.0 개념을 소개한 IT계의 거목 팀 오라일리입니다.


f78fef0ac991003ad3342552d61269fb_1745473401_6524.png


그는 지난
2, The End of Programming as We Know It이라는 칼럼에서

프로그래머의 역할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진화하는 것’이라며 이렇게 말합니다.
 

"과거에도 기술이 발전할 때마다 사람들은 '프로그래머가 필요 없어질 것'이라고 했지만,

현실은 오히려 프로그래밍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는 점을 기억하라."

f78fef0ac991003ad3342552d61269fb_1745477228_7456.png
✨ 기술이 발전해도 복잡도는 계속된다.

오라일리는 역사를 돌아보며 이렇게 정리합니다.

• 최초의 컴퓨터에서 물리적 회로의 연결로 시작한 프로그램의 초기 모습에서
• 이후 기계어, 어셈블리 언어, 포트란, 코볼, C, C++, java와 같은 고수준 언어들이 등장했고,
• 이제는 AI가 코드를 써주는 시대까지 왔지만 기술이 발전할수록 도구는 쉬워졌지만, 개발 환경의 복잡도는 오히려 커졌습니다.
, 모바일, 백엔드, API, UX 등 다양한 요소들을 관리해야 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그는 프로그래머는 단순한 코드 작성자가 아니라,

AI를 포함한 시스템 전반을 관리하는 관리자(Manager)라고 강조합니다.
 

인간 프로그래머는 관리자입니다.”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그리고 최근 실리콘 밸리에 진출한 수많은 스타트업들은 수만 명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습니다. 20세기 공장식 사고방식으로 생각해 보면, 이 노동자들은 마치 산업 혁명의 선조들처럼 하루 종일 제품을 갈아내는 데 시간을 보냅니다. 다만 오늘날에는 물리적 제품이 아닌 소프트웨어를 생산하고 있을 뿐입니다. 하지만 21세기적 관점에서 이러한 기업들을 바라본다면, 검색 결과, 뉴스 및 정보, 소셜 네트워크 상태 업데이트, 관련 상품 구매 등 이 기업들이 하는 일의 상당 부분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알고리즘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이들이 바로 진짜 노동자이고, 이들을 만드는 프로그래머들이 바로 그들의 관리자입니다."

  팀 오라일리, MIT 강연 (2016.5.21)

이 글을 읽으시는 어떤 분들은 AI는 너무나 혁명적인 위협인데 이번에는 혹시 개발자들이 된통 당하는 것이 아닐까? 하고 의구심을 가지실 수도 있을 것입니다.

여기에 대해 팀 오라일리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고급 추론 모델의 등장은 AI가 수행해야 할 작업을 설명하는 고급 프롬프트만 있으면 복잡한 프로그램도 생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시작했습니다. 많은 사람이 이 기술이 기존의 프로그래머나 지식 노동자를 대체할 것이라 우려하지만,  저는 아직도 동의하지 않습니다. 훨씬 더 많은 사람들에게 첨단 컴퓨팅 능력을 제공하는 획기적인 기술이 등장하면, 물론 평범한 사람들도 한때 고도로 훈련된 전문가들의 영역이었던 일들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획기적인 기술은 새로운 종류의 서비스와 그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기도 합니다. 지금 다가올 마법은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합니다. 이는 우리가 심오한 탐구와 창의성의 시대를 시작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그 마법을 어떻게 구현하고 그 힘에서 새로운 이점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이해하려고 노력합니다. 이 기술을 도입하는 똑똑한 개발자들은 가치를 더하는 고차원의 창의성에 집중하여 훨씬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요가 많을 것입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오라일리의 말이 일리가 있다고 느끼지시나요 ?

다음 챕터에서는 오라일리가 내린 결론과, 저의 개인적인 의견도 말씀드리겠습니다.

  • 목록